- Today
- Total
엔지니어스 - Engineeus
.prototxt vs .caffemodel 본문
prototxt
- 네트워크 구조가 담긴 파일
- 이를 수정 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

caffemodel
- prototxt의 네트워크로 학습 시킨 모델
- Weight 와 Bias가 담겨져 있음
- 일반적으로 볼 수 없는 파일 이지만 Caffe 플랫폼으로는 열어서 수정 가능하다.
추가 정보
More Information
Caffe (Convolutional Architecture for Fast Feature Embedding) is a deep learning framework that allows users to create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segmentation models. Initially, users create and save their models as plain text PROTOTEXT files. After a user trains and refines their model using Caffe, the program saves the user's trained model as a CAFFEMODEL file.
CAFFEMODEL files are binary protocol buffer files. As such, you cannot open, examine, and edit them in a source code editor, as you would PROTOTEXT files. CAFFEMODEL files are meant to be integrated into applications that can utilize trained image classification and image segmentation models, using Caffe.
Solver.prototxt
: 최적화시 튜닝 하는 파일 (외부파라미터 들이 들어 있음)
train_val.prototxt
: 네트워크를 구함
deploy.prototxt
: 학습 완료 후 모델에 임의의 입력을 train으로 deploy 생성 가능.
LMDB
: 데이터를 가볍게 해주기 위함
'Autonomous Tech. > Machine Lear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초.간.단) 오픈포즈 환경 설정 [OpenPose in UBUNTU] (0) | 2021.05.14 |
---|---|
NMS(Non-maximum Suppression) 이란? IOU부터 알자 (0) | 2021.01.18 |
Objectness란? (=Confidence threshold) (0) | 2021.01.13 |
[Windows] 텐서플로우(Tensorflow) 배워볼까? - 기본 그래프 구현 [2] (0) | 2020.03.08 |
텐서플로우(Tensorflow) 배워볼까? - 기초 개념 [1] (0) | 2020.03.08 |